어릴 적 누구나 우주를 상상하면서 그 끝이 어디일지 신기하고 궁금했던 적이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과학기술이 많이 발전해서 어느 정도 우주의 신비가 밝혀졌지만 아직 우리가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어느 정도 일까? 과연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그 여행을 떠나보자
우주의 중심과 끝
우리는 한때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고 생각한 적도 있고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다. 그럴싸한 이야기였지만 사실은 아니었다. 태양 역시 그보다 큰 무엇인가의 일부였다. 그렇다면 우주는 얼마나 크고 넓은 것일까? 우주의 끝은 어디일까? 안타깝게도 아직 밝혀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우주의 크기
지금부터 하나씩 비교하면서 관측가능한 우주까지 가보겠습니다. 어질어질하니까 정신 차리고 따라오셔야 합니다.
천체명 | 단위 | 크기 | 추가설명 |
에베레스트산 | 높이(m) | 8,848m | 세계의 지붕, 지구에서 가장 높은산 |
지구 | 지름(km) | 12,742km | |
목성 | 지름(km) | 139,820km |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 부피는 지구의 1,300배 |
태양 | 지름(km) | 1,390,700km | 태양은 태양계의 전체질량의 99%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시리우스A | 지름(km) | 2,380,000km | 태양의 약 2배 크기 |
베텔게우스 | 지름(km) | 1,200,000,000km | 태양의 700배 이상 |
스티븐슨 2-18 | 지름(km) | 3,000,000,000km |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큰 별 태양 지름의 2,000배 |
TON 618블랙홀 | 지름(km) | 390,000,000,000km | 가장 큰 별의 130배 크기 |
이제부터는 단위를 광년(Light-year)으로 변경합니다.
1 광년(Light-year) : 진공상태에서 빛이 1년 동안 이동한 거리(약 9조 4,600억 km)
천체명 | 사진 | 크기 | 추가설명 |
오르트 구름 | ![]() |
1.6 광년 | 먼지와 얼음이 뭉처진 덩어리 |
창조의 기둥 | ![]() |
5 광년 | 성간가스와 먼지 덩어리 |
오메가 센타우리 | ![]() |
160 광년 | 센타우루스 자리의 구상성단 |
소마젤란 은하 | ![]() |
7,000 광년 | |
대마젤란 은하 | ![]() |
14.000 광년 | |
솜브레로 은하 | ![]() |
7,000 광년 | 처녀자리 은하 |
우리 은하 | ![]() |
120,000 광년 | 태양 질량의 3조배, 은하수, 4천억개 이상의 별로 구성 |
안드로메다 은하 | ![]() |
220,000 광년 | 최초로 발견된 외부 은하, 우리 은하의 2배 |
국부 은하군 | ![]() |
10,000,000 광년 | 우리 은하가 속해있는 은하군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 ![]() |
520,000,000 광년 | 우리 은하군과 은하단이 모인 초은하단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
![]() |
1,000,000,000 광년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2배 |
관측 가능한 우주 | ![]() |
93,000,000,000 광년 |
결론
관측 가능한 우주로 끝이 아닐 것이다. 지금 보이는 관측 가능한 우주는 우주 배경 복사를 추측한, 빛이 도달할 수 있는 영역에 불과하다. 이렇게 큰 우주 과연 그 끝은 어디일지 아직 우리의 기술력으로 그다음을 알 수가 없다. 그렇기에 더욱 지적인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이 우주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